❚ ㅡ 좋은 글& 영상시

■ 왜 한국인은 행복해 하지 않는가 -황상민(연세대 교수) /행복은 어디에서 올까?

Diogenes 2016. 4. 11. 12:02




                                                                                                                        


                                                                                  성악선교대학   

                                  

                                                                                                                                                                

 

..

Tu Ne Sais Pas Aimer (남의 속도 모르고) -Chanson

.


                                        

                                                                                        

                                                                                            

§ 1부- 

 행복은 어디에서 올까?   ,·´″"`°³о 

────────────────────────────────────────наррч Ŀøνё′



*뿔이 있는 소는 날카로운 이빨이 없고
   이빨이 날카로운 호랑이는 뿔이 없으며


   날개 달린 새는 다리가 두개 뿐이고
   날 수 없는 고양이는 다리가 네 개랍니다.


*아름다운 꽃은 열매가 변변찮고
   열매가 귀한 것은 꽃이 별로입니다.


   세상은 공평(公平)합니다.
  장점이 있으면 반드시 단점이 있고
  단점이 장점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세상사 입니다.
   남과 비교(比較)하고 불평불만하며 살면
   자신만 불행할 뿐 세상은 바뀌지 않습니다.


   뭔가가 부족하면 생활은 조금 불편할지 모르나
  우리에게 진정으로 행복(幸福)을 가져다 주는 것은
  감사하는 삶의 태도에 있음을 많이 경험합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행복이 감사(感謝)하는 마음에서 오는 것이지
   외적(外的)인 환경에서 오는 것이 아님을 알고 있습니다.
   매 순간 작은 것에도 감사하며 행복하게 사세요.


-출처: 좋은 글 에서
펌처/ YMC무재해컨설팅
- http://blog.daum.net/ymc365/7621887


 



  지금 그 자리에 행복이 있습니다

────────────────────────────────────────наррч Ŀøνё′



*사람들이 불행(不幸)한 이유는 단 한가지뿐입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이 행복하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삶이 우리에게 주는 고마움
   그것을 잃어버리기 전까지는
   느끼지 못하는 경향(傾向)이 있습니다.


*잃고 난 후에 그 소중(所重)함을 깨닫지만
   이미 때는 늦어 버린 뒤입니다.


   눈 들어 세상(世上)을 보면
  우리는 열 손가락으로는 다 헤아릴 수 없는
  행복에 둘러 싸여 있습니다.


*우리가 불행을 헤아리는 데만
   손가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많은 행복을 외면(外面)하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눈을 들어 주위를 다시 한번 살펴보십시오.
  그리고 찬찬히 내주위(周圍)에 있는 행복을
  손가락 하나 하나 꼽아 가며 헤아려 보십시오.


*그러는 사이 당신은 지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으로 변(變)해 있을 것입니다.



-출처: '행복 비타민' 中에서
펌처/ GOOD-LIFE 더불어 행복한 삶의 영위추구
- http://blog.daum.net/kimdongkeel/6820215




                                                                                            

§ 2부- 

                                                   

  왜 한국인은 행복해 하지 않는가?    -글/황상민(연세대 심리학과 교수)

────────────────────────────────────────наррч Ŀøνё′



*대다수의 한국인은 행복하지 않다고 한다.
   무엇보다 '돈이 있어야 행복(幸福)하다'고 믿는다.


   이에 대해 한 외국 학자는 
  "한국인은 자신을 다른 사회 구성원과 끊임없이 비교(比較)해 
  남을 이기는 것이 행복해지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말한다.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성공 가도를 걷고 있는 듯한 나라
   선진국 수준의 경제력을 갖춘 나라에 사는 한국인이 행복해 하지도 않고
   돈이 있어야 행복하다고 믿는 것은 그 자체로 역설적(逆說的)이다.
   돈은 웬만큼 있는 것 같은데도 한국인이 여전히 불행해 한다는 것은
   그것이 '돈'의 문제(問題)가 아니라는 뜻이다.


   그것은 바로 한국인이 자신(自身)어떻게 보는가 하는 믿음의 문제이다.
  한국인의 불행감은 '남을 이기려' 하거나 '돈을 더 많이 벌려는' 데 
  있지 않다. '사회적 인정(認定)에 대한 목마름'에서 오는 것이다.
  한 외국 기자는 한국의 '성형 열풍'을 일컬어 "인정을 받고

  자기 확신(確信)을 얻고자 완벽을 추구하는 한국인"이라고 표현했다.


*우리는 본인이든 자식이든 최고(最高)의 학벌, 최고의 직장을 갖추려 한다.
   그게 안 되면 비싼 명품(名品)처럼 남이 부러워할 무엇이라도 가져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한국인의 자기 인식(認識), 즉 한국인의 '정체성(正體性)'이다.
   한국인은 누구나 남들에게 '멋진 사람'으로 보이기를 원한다.
   그러나 누구나 최고로 멋진 인물이 될 수 없다는 현실의 (壁)에 부딪힌다.


   입사 경쟁에서 성공하려는 대학생들은 높은 학점, 토익·토플 등
  높은 영어 성적, 외국 연수 경험, 인턴 경험 등등의 최고 스펙을 
  내밀지만, 그들이 가고 싶어하는 회사(會社)는 생각이 다르다.


*이렇게 우리의 삶이 자신의 예상(豫想)과 다를 때, 안정적이라고 

   믿었던 것이 그렇지 않다고 느낄 때, 행복지수가 높은 사회의

   사람들은 '내 생각과 남의 생각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많은 한국인은 체념(諦念)한 자포자기한 모습이 된다.
   삶을 불안(不安)해하고 자신에 대한 자존감도 낮아진다.
   이럴 때에는 특히 '강한 사람한테는 약하고, 약한 사람한테는

   강한 스타일'이 두드러지기 쉽다.


*돈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법(魔法)이라고 믿기에 
  이런 사람일수록 타인을 볼 때 재산이나 사회적 지위를 더 의식(意識)한다
  높은 자살률, 낮은 출산율, 높은 이혼율로 나타나는 우리의 삶은 
  바로 이런 마음의 반영(反映)이다.


   자기 자신보다는 남에게 이상적이고 멋있는 모습을 보이는 데
   집착(執着)할수록 그 사람의 삶은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
   마음 한구석으로는 점점 더 체념하고 자포자기한 상태가 되어간다.


*'멋진 보통사람'과 '체념한 모습'이라는 일견 서로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한 사람 안에서 작동한다. 한국인의 이 정체성(正體性)
   우리가 잘사는 것처럼 보여도 스스로 불행하다고 믿게 만드는 것이다.
   자기 생각보다는 타인의 눈 통(通)해 자신을 인식(認識)하기 때문이다.


   스스로는 현재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또 자신이 살아갈 미래가 어떤 방향(方向)인지를 알 수 없다. 
  누군가가 그것을 알려주기를 간절히 원하지만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그때는 돈만이 유일한(答)이 된다. 이것이 바로 한국인이 돈이 있어야 이 된다. 이것이 바로 한국인이 돈이 있어야 
  행복해질 것이라고 믿게 되는 까닭이다.


*돈만이 답(答)이라면 우리의 삶은 불행(不幸)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우리도 남을 의식하고 남과 비교(比較)하기보다는
   자기만의 거울을 닦고, 그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을 보았으면 한다.



펌처/ GOOD-LIFE 더불어 행복한 삶의 영위추구
- http://blog.daum.net/kimdongkeel/6821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