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가 복지 때문에 망했다는 거짓말이 나도는 진짜이유
▬▬▬▬▬▬▬▬▬▬▬▬▬▬▬ஜ۩ GOOD ۩ஜ ▬▬▬▬▬▬▬▬▬▬▬▬▬▬▬▬
☆ Solenzara(추억의 소렌자라) -by Claude Ciari/ Lucia Sarto paintings
.
그리스가 복지 때문에 망했다는 거짓말이 나도는 진짜이유
[책소개]-'복지사회와 그 적들'/ 가오롄쿠이 지음/ 김태성·박예진 옮김/ 부키 펴냄
- 추천/ 서울경제, 중앙일보, 매일신문, 한겨레신문
- 2015. 05. 11 16:38 from 북 리뷰/ 기타/ 교양
●제 1부-
────────────────────────────────────────『наррч Ŀøνё′♬
누가 복지사회를 반대하는가?
- 이익이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어디로 향하는지 파악하라
①"복지 지출이 많은 나라는 정부 부채가 많다."
"복지 국가는 효율이 낮다."
"복지 사회는 부자 나라에서만 가능하다."
복지 국가에 대한 이러한 문제 제기들이 과연 사실일까?
복지 국가는 현대 '위기 사회'가 지향해야 할 적절한 좌표인가?
▶②이 책 『복지 사회와 그 적들』은 바로 그러한 문제 제기에 대한 한 가지 답을
제시한다. 복지 국가에도 결함이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복지 국가밖에 없다.'
라는 것이다. 자본주의 종주국인 미국과 영국이 금융 위기나 유럽 부채 위기 등
초대형 경제 위기에 휘청거리는 사이, 복지 국가의 대명사인 북유럽 선진국들은
여전히 낮은 실업률과 높은 1인당 GDP, 상대적으로 작은 빈부 격차를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왜 복지 사회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일까?
▶③저자는 복지 국가에 대한 문제제기 자체에 일부 오류가 있다고 말한다.
복지를 축소하거나 거부하자는 주장들을 살펴보면 사실 관계를 왜곡하거나
핵심적인 진실을 감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처럼 복지 국가에 대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과 거짓말을 바로잡고
복지 국가의 실체를 알리려는 시도다. 나아가 그러한 거짓말과 왜곡을 '누가 왜'
만들어 내는지, 그리고 그렇게 형성된 복지 반대 담론이 어떻게 재생산되고 확대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복지 국가의 탄생에서부터 발전 과정, 일부 복지 국가의 탈복지 노선, 복지 사회의
개선점 등도 검토하면서, 복지 후발 국가들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한마디로, 복지 국가의 과거와 미래, 현재를 한데 아우른 복지 국가 사용 설명서다.
④강력한 복지 정책을 시행한 나라들이 이미 확실한 성공을 거뒀음에도 복지를 부정
하고 반대하는 목소리는 끊이지 않는다. 복지에 대한 진실은 숨겨지고 사실과 다른
주장이 오히려 난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대 로마의 정치인이자 웅변가 키케로는 "퀴 보노(Cui Bono)? "라는 말을
즐겨 썼다고 한다. "누가 이득을 보는가?"라는 의미다.
▶⑤이 책의 저자 또한 경제 칼럼니스트 스한빙(時寒빙)의 '이익 분석법'을 요긴하게
써 볼 것을 제안한다. 복지의 효용을 깎아내림으로써 이득을 얻는 '배후의 수익자'
가 누구인지를 분석해 보라는 얘기다.
흔히 생각하듯 복지 사회가 저소득층이나 중산층에게만 좋은 것은 아니다.
복지 사회에서는 기업과 정부도 수익자가 된다. 복지 사회를 건설하면 세수를 바탕
으로 재정 집행이 용이해지고 고용 문제가 상당수 해결돼 사회 화합 및 공직자의
청렴함이 구현된다. 기업에서는 뛰어난 자질을 갖춘 인재가 창조한 잉여 가치로
구현된다.
다국적 기업 보유수로 세계 1위에 올라 있는 북유럽이나 비스마르크가 사회 보장
제도를 법적으로 수립한 이후 근로 상황과 산업 환경의 개선으로 기업의 수익이
크게 증대한 것을 바탕으로 독일 경제가 도약한 것이 이를 증명한다.
.
●제 2부-
────────────────────────────────────────『наррч Ŀøνё′♬
경제학자는 어떻게 개혁의 장애물이 되었나
- 복지의 실현을 필사적으로 막으려는 '복지 사회의 적들'
⑥복지 사회를 건설할 경우 유일하게 손해를 입는 계층은 이른바 고위 기득권층이다.
기득권을 가지고 있으면서 복지 사회로부터 가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는 계층
이기 때문이다. 이들이야말로 복지의 최대 반대자다.
눈에 보이지 않는 이익 집단이 여론을 통제하고 움직일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그들에게 복지 반대 논리를 제공한 전문가 집단과 그 논리를 확산시킬 수 있는 도구
를 제공한 언론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저자는 이러한 전문가로 '경제학자'를
꼽는다. 바로 신고전주의 경제학자들이다.
그들은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스스로 찾는다면서 인위적인 개입이나 간섭을
반대한다. 정부가 커지면 시장에 손해라고 생각해 '작은 정부'를 선호한다. 그들에게
는 북유럽 국가와 같은 공공 서비스형 정부나 고세수 정책은 타도해야 할 대상이다.
▶⑦"국가가 개입하면 경제가 성장할 수 없다."라는 것이 그들이 자주 하는 협박이다.
저자는 이러한 맹목적인 시장주의 경제학 이론도 문제지만, 학문적 깊이는 결여한 채
사회적 명성이나 지위만을 좇는 속물적인 경제학자가 많은 현실을 더욱더 개탄한다.
경제학자가 필요로 하는 연구 자금이 대부분 재단이나 기업, 다국적 투자은행 등에서
직접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경제학자가 이익 집단의 대변인 노릇을 하게
되는 인센티브가 작용하는 것이다.
이들과 접촉하는 언론 역시 마찬가지다. 언론사의 경제부 기자 상당수가 체계적인
경제학 수업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다. 경제 전문 지식이 부족한 기자가 전문 지식
이 깊지 않은 경제학자를 상대로 인터뷰를 하고 자문하는 상황인 것이다.
.
●제 3부-
────────────────────────────────────────『наррч Ŀøνё′♬
전문적인 지식 없이 감성적인 인식에 의거해 현실과 동떨어진
- 주장을 하는 '문예강(文藝腔)형' 학자들
⑧게다가 언론은 대중의 눈치를 보거나 선정적인 효과를 노려 가며 교묘하게 뉴스를
고르거나 배제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진정한 경제학자들은 말을 아끼고 침묵하는
반면, 극단적이고 편현합 주장만이 여론의 주목을 받게 된다.
저자는 대중의 지지를 얻으려는 대중 추수주의뿐 아니라,
문수주의(문자 추수주의), 즉 글로 먹고 사는 학자들도 경계한다.
전문적인 지식없이 감성적인 인식에 의거해 현실과 동떨어진 주장을 하는 문예강
(文藝腔)형 학자들, 언론에 기고하는 경제 평론가나 오피니언 리더 중에 진정한
학문적 배경없이 단견과 편견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인기를 과시하는 이들이
대표적인 문수주의자들이다.
▶⑨철학자 카를 포퍼(Karl Popper)는 『열린사회와 그 적들(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1945)이라는 책에서 인류를 '닫힌 사회'로 이끈 원흉으로 플라톤과
헤겔, 마르크스를 지목해 신랄하게 비판한 바 있다.
▶⑩이 책『복지 사회와 그 적들』은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Friedrich von Hayek)야말로 복지 사회로의 이행을 가로막는 장본인
이라고 지목한다. 저자는 엘리트 지식인과 여론 주도층에는 이 하이에크를 교조
처럼 받드는 '하이에크주의'가 만연해 있다고 지적한다.
하이에크는 일찍이 "자유를 잃고 노예가 되는 길"이라는 말로 사회 복지 제도를
갖추려는 정부를 비판한 인물이다. 사유제를 보장하고 자유방임의 시장경제를
보장한다면 독재도 나쁘지 않다고 여길 정도로 극단적인 자유주의를 추구했다.
⑪저자는 하이에크가 복지 사회, 민주주의, 노동 인권에 반대하는 등 반민주적,
반인권적 인물이며, 하이에크의 학문은 경제학이라기보다 사회학으로 봐야 한다
는 의견을 피력한다.
따라서 사회 고위층과 그들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삼류 경제학자, 삼류 언론,
문수주의자와의 긴밀한 이익 관계를 끊고 하이에크주의를 타파하지 않는 한
소득분배 개혁이나 복지사회로의 이행은 요원할 것이라는 게 저자의 경고다.
▶⑫중국보다 앞서 자본주의 발전을 구가한 한국은 중국보다는 복지 상황이 낫다.
그러나 한국 역시 1인당 GDP는 3만 달러에 근접해 선진국 지위를 넘보고 있는
반면, 복지 수준은 OECD 최하위권에 그친다.
한국과 중국 모두 그야말로 '복지 도상국'인 셈이다. 책에 묘사된 중국의 현황들
은 국내 상황과도 상당 부분 포개진다. 그래서 중국에 필요한 복지 국가 모델을
모색하고 중국사회와 학계를 향한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 저자의 노력은 우리
에게도 많은 것을 시사한다.
▶⑬"우리가 인간으로 남고자 한다면 오직 하나의 길, 열린 사회로의 길이 있을 뿐"
이라는 포퍼의 말처럼 "우리가 인간답게 살고자 한다면, 오직 하나의 길,
복지 사회로의 길이 있을 뿐"이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中에서
- 출처: 13.02.13 스한빙 경제대이동 | 작성자 Loner
- [참고1] 스한빙 -저서/ 스한빙 경제대이동
중국에서 존경받는 경제예측가이자 경영학 박사인 스한빙 교수가 오늘날 중국이 처한
경제적 현실에 대해 쓴 책이 중국 내에서 많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 [참고2] 용어 설명-
☞ 추수주의(追隨主義)- 아무 비판 없이 맹목적으로 남의 뒤만 따르는 태도나 경향.
■펌처/ 여강여호의 책이 있는 풍경
- http://yeogangyeoho.tistory.com/96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