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글/ 스티븐 코비(Stephen R. Covey) 박사



.
☆ 잊혀진 계절 -이용 by 연주: 첼로댁 CelloDeck
.


★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글/ 스티븐 코비(Stephen R. Covey) 박사
ㅡ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наррч Ŀøνё′♬

1부 -서언(序言)
▶①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7가지의 중요한 법칙(Principle)을 이해하고
그 법칙을 습관(Habit)으로 형성시켜 나가도록
이끌어주는 프로그램(Program)이다.
▶②"Sow a thought, reap an action;
sow an action, reap a habit;
sow a habit, reap a character;
sow a character, reap a destiny."
ㅡ생각은 행동은 낳고,
ㅡ행동은 습관을 낳으며,
ㅡ습관은 성격을 낳고,
ㅡ성격은 운명을 결정짓는다.
*습관은 일관성있게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성격을 나타내주며
개인의 성공 혹은 실패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습관의 중력은 아폴로11호의 지구궤도 이탈 에너지처럼 초기에 매우
힘이 드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즉 발사에는 굉장한 노력이 들지만
일단 중력권을 돌파하면 새로운 공간을 자유자재로 다니는 것은 쉽다.
이 책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은 타인에 의존적인 사람을
자주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 도와주며, 독립적인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는
시너지효과를 활용하여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

2부 -개관(槪觀)
21세기 지혜사회의 리더(*구성원)가 되기 위한 7가지 습관
▶1- 새로운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의 저자 스티븐 코비박사가 내한해
강연회(주제- "Think win-win" /상생相生의 길)를 열었다. 다가오는
지혜사회를 대비해 단체나 조직의 생산성(*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야기했다.
▶2- 21세기형 리더십을 키우는 7가지 방법(*습관)은 무엇일까?
①농경사회, 산업사회, 지식정보사회, 그 다음은 지혜사회가 될 것이다.
20세기 기업의 가장 가치있는 자산이 생산설비였다면, 21세기의 가장 가치있는
자산은 지식근로자와 그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인재의 육성과 그들
의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발전에 공헌하게 하는 것이다.
지식근로자의 육성은 사고방식의 전환이 이뤄질 때 가능하다. 약간의 성과는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도 달성되지만, 커다란 성과는 패러다임이 전환될
때에만 가능하다. 어떤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것 일까?
②첫째, <사물중심사고>에서 <인간중심사고>로의 전환이다.
사물중심의 사고는 시설이나 동산, 부동산 등을 주요자산으로 생각하고
근로자도 소유물처럼 생각하게 했다. 그러나 인간중심사고는 인재를 가장 중요
한 자산으로 생각하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경영자들은 행동지침보다 원칙이 되는 지혜를, 통제보다는 자율을, 효율보다
는 효과를 추구해야 한다. 리더들은 공식적 권위보다 도덕적 권위를 활용해야
한다. 도덕적 권위를 가진 리더는 조직의 구성원(지식근로자)을 섬기고 존중
하는 패러다임을 갖고 있기에, 그들로부터 인정받고 신뢰받는다. 또한 구성원
각자의 내면에 있는 선택의 자유(*자율성)와 능력을 활용하므로, 조직원들은
사명감과 사랑, 보람과 같은 원칙과 지혜를 선택해 열정적으로 시너지
(*공동 상승작용)를 냄으로 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③둘째, 선택과 집중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직원들이 아무리 신속하고 신명나게 일해도 선택한 방향이 잘못되면
더 빨리 더 이상하게 된다. 성공의 사다리를 남들보다 더 빨리 더 먼저
오르는 것보다 옳은 사다리를 선택한 다음에 열심히 집중해서 올라가야
하는 것이 진정한 생산성의 원칙이다.
이를 위해서는 XQ(execution Quotient: 실행지수)를 높여야 한다.
실행지수( XQ)란 개인과 조직이 가장 소중한 목표에 얼마나 초점을 맞추고
이를 실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조직진단척도다.
실행지수( XQ)가 높은 집단은 조직원들이 기업(*또는 단체)의 핵심목표를
위해 힘을 집중(*포커스)하고 협력(*시너지)하는 조직이다.
▶3- 결론적으로,
*21세기 지혜사회의 리더가 되려면 자신의 경영 즉 자기관리가 필수적이다.
자기관리가 제대로 되어야 선택과 집중이 가능해지고, 생산성도 향상된다.
자기관리를 바탕으로 옳은 목표를 선택하고 집중할 때
21세기 지혜사회에 맞는 리더가 될 것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은 이러한 지혜사회의 리더 또는 구성원이
되기 위한 방법과 원리(*프로그램)인 것이다.
*참된 변화는 각자의 내면에서 먼저 시작되어야 한다.
나뭇잎을 쳐내는 것과 같은 응급처치식 방법으로는
태도와 행동을 바꿀 수 없다. 이것은 뿌리, 즉 사고의 바탕이자
기본인 패러다임을 바꿈으로써만 가능하다.
이러한 사고 전환의 패러다임은 우리의 성격을 결정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의 시각을 창조해 준다.
결국, 내 삶을 바꿔서 가치있게 하려면 사고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인간관계를 지배하는 법칙, 즉 원칙이 있음을 발견했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열매를 얻으려면 씨를 뿌려야 하는 자연의 법칙처럼
수많은 원칙 가운데 성공하기 위한 7가지 원칙을 추리고,
각 원칙간의 논리적 체계와 실행방식 등을 간략하게 종합정리한 것이
바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다.
[■참고: 註 -Diogenes]
앞의 습관은 다음 습관을 위해 필수적이며,
서로간에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깊이 이해해야 한다.
하나 하나의 습관들이 서로 밑바탕의 기초를 이루며 7층 석탑 또는
7색 무지개를 이루는 것과 같다. 하나 하나의 습관들이 앞에 그리고
뒤의 습관에 중요한 그리고 결정적 역할을 한다.
옛말에 구슬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듯, 하나 하나의 습관원리들은
아주 단순하지만 스티븐 코비박사의 놀라운 안목으로 7개의 행동원리가
상하로 정교하게 연결되고 중심으로 꿰어져 영롱하게 빛나는
삶의 보석같은 원리가 탄생했다.
그 7가지 습관의 핵심내용은 아래와 같다.(계속)



3부 -성공하는사람들의 7가지 습관(*Advice)/ 핵심내용 정리
ㅡ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наррч Ŀøνё′♬
▶습관 1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라: Be Proactive.
- Principles of Personal Choice
*어떠한 상황에 있어서도 누군가에게 의지하거나 수동적으로 끌려다니기 보다
자신의 의지와 판단, 선택으로 상황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삶을 살라.
인간은 살아가면서 늘 매사에 선택의 자유를 행사하게 된다.
누구나 나름대로 자신의 반응을 뜻대로 선택할 수 있는 위대한 존재다.
행복과 불행마져도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 오늘의 나는 어제까지 내 선택의
결과다. 남의 눈치를 보고, 남의 반응에 따라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오직
자기주도적인 삶의 사람만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더 큰 행복감을 느끼며,
자발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이 된다는 것은, 무모하게 밀어붙이고 다른 사람들을 불쾌
하게 하며 공격적으로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것은 어떤 일을 완수할 책임을
깊이 자각(*주인의식)하고 인식하면서 행동하는 삶의 자세로, 성공하는 사람들
의 가장 뚜렷한 특징중의 하나이다.
▶습관 2 -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시작하라 : Begin with the End in Mind.
- Principles of Personal Vision
*사전에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일을 시작해야 뜻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집을 지을 때 사전에 설계도를 만들어야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는
것과 같다. 뚜렷한 목표와 계획이 없는 인생과 사업은 실패하기 쉬운 것과
같은 이치다.
이같은 창조의 원리를 잘 이해하고 철저히 실행하면, 모든 일과 사업에 있어서
성취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반대로 창조의 원리를 무시하고 아무런 목표와
계획이 없이 일하면 매사에 성취가능성은 크게 줄어든다.
▶습관 3 - 중요한 일부터 먼저 하라 : Put First Things First.
- Principles of Integrity & Execution
*자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 즉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소중한 것부터
행동하게 되면 원하는 것을 착오없이 성취할 수 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사람들 대부분은 중요한 일보다는 눈 앞에 닥친 긴급한 일부터 하게 된다.
그렇게 계속하다 보면 정말 중요한 것을 소홀히 하게 된다. 중요한 일이
하찮은 일에 밀려나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선순위를 정해놓고 중요한 것을 먼저 하려면 시간관리(*계획)를 해야
한다. 이는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시간이라는 자원을 좀더 가치있고
유용하게 쓰기 위한 삶의 방법인 것이다.

───────────────────────────────────────────˚☆
▶습관 4 - 상호 이익을 모색하라 : Think Win-Win.
- Principles of Mutual Benefit
*항상 경쟁에 익숙해 있고, 승자만이 우대받는 사회에서 사는 우리들에게 서로
이긴다는 윈윈(Win-Win: 상생相生)의 개념은 생소하다. 그러나 이 세계는
상호의존의 세계이다. 탁월한 어느 한 사람의 역량만으로 살아갈 수 없다.
윈윈(Win-Win: 상생相生)이라는 것은 합의나 해결책이 양쪽 모두에게 유익
하고 만족을 주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사물
을 보는 경향이 있다. 즉 강하냐 약하냐, 하드볼이냐 소프트볼이냐, 이기느냐
지느냐 하는 식으로 모든 것을 보는 것이다. 이에 반해 윈윈(Win-Win:상생相生)
적 사고방식은 모든 사람에게 유익하도록 해결책을 찾아내고 배려하는 패러다임
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한 사람의 성공이 다른 사람의 실패를 초래하거나 다른 사람의 성공기회를
박탈하지 않고 함께 공생(Win-Win: 상생)하여 간다는 상호존중의 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습관 5 - 남의 말을 먼저 경청한 다음에, 이해시켜라 :
- Seek first to understand, Then to be understood.
- Principles of Mutual Understanding
*우리는 지금까지 말하고, 쓰고, 읽는 교육은 많이 받아 왔으나 상대방의 말을
듣기에 쏟는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 습관은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남의
입장을 철저히 파악한 다음, 그에 맞추어 자기 이야기를 하라는 것이다. 즉 상대
의 입장에서 들어 줄 수 있어야 모든 문제에 있어서 상호이익 즉 윈윈(Win-Win:
상생 또는 공생)의 해결책이 나올 수 있게 된다.
공감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성공적 삶의 핵심원리이다.
▶습관 6 - 협동의 힘, 시너지를 창출하라 : Synergize.
- Principles of Creative Cooperation
*미래사회에서 각 개인의 힘을 결합시키고, 상승시키는 시너지효과는 성공에
있어 필수적이다. 소수의 천재가 모든 것을 관장하던 시대는 지나갔다. 개성
이 다른 여러 사람들이 조화롭게 협력하여 발휘하는 힘이란 각 개인들의 힘을
합한 것보다 더 크기 마련이다. 시너지효과는 무한경쟁시대에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덕목이며 원리이다.
사람들간의 정신적,감정적,심리적 차이점을 소중히 여기고 최대한 살려나가는
것이 시너지의 본질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점을 소중히 여기는 관건은 모든
사람들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자신의 관점을 통하여 바라본다는
사실을 깨닫고 상대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것이다.

───────────────────────────────────────────˚☆
▶습관 7 - 끊임없이 쇄신하라 : Sharpen the Saw.
- Principles of Balanced Self-Renewal
*나무를 베는 톱날은 항상 날카로워야 한다.
톱날을 갈지않고 나무만 벤다면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진다.
미국은 70세 이상 전문경영인이 44만명이나 되는 데, 한국은 약 400여명
내외라고 한다. 이러한 결과가 보여주듯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 모든
분야에서 구성원들이 끊임없이 쇄신하고, 재충전을 계속할 때 과거의 관성에서
벗어나 진정한 의미의 성공적인 삶과 사업, 건강한 사회와 국가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 습관은 우리가 인생에서 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투자다.
이것이야말로 스스로에 대한 투자이고, 삶을 살아가는 자신만의 보람있는 노력
이다. 따라서 모든 분야에서 조직과 사회 구성원들이 끊임없이 쇄신이 이루어지
도록 힘써 노력할 때, 비로소 개인과 사회전체가 발전적으로 향상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잘못된 습관을 끊임없이 고치려 노력하라. 변화시키고, 변혁하고,
끊임없이 쇄신하라.

■펌처/ NAKYUNG, E&A :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hyunjoor/40033708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