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생학교: 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로먼 크르즈나릭 著) /책 내용의 핵심정리
☆ Destiny -by Peer Kusiv
.
★ 1부-
.
책 내용의 핵심정리 -인생학교: 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로먼 크르즈나릭 著)
────────────────────────────────────────────『наррч Ŀøνё′♬
1- 시작하며
당신은 왜 일하고 있는가?
ㅡ무엇이 당신을 일하게 하는가?
ㅡ돈과 의미(성취감) 사이의 저울질
① 지금 하는 그 일 행복한가?
돈도 잘 벌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업이지만 본인들이 전혀 만족
하지 못하는 사례 제시. (변호사, 컨설팅 회사 직원)
② 의미 있는 직업을 찾아라.
사람들은 직업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자 한다.
성취감을 주는 3가지 요소 : 의미, 몰입, 자유
( meaning, flow, and freedom )
▶"돈 벌려고 하는 거지, 다른 이유가 필요해?"
혹은 "생활은 힘들더라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거야."
당신은 어느 쪽인가?
직업이 없을 때는 1분 1초가 불안하다가, 막상 일을 시작하면
"죽을 때까지 이 일을 계속해야 하나?"하는 시지프스적 고민에
주기적으로 빠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동하지 않으면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없는 노동은 삶을 질식시킨다."는 카뮈의 말처럼,
( Without work, all life goes rotten, but when work is
soulless, life stifles and dies. - Albert Camus. )
영혼이 담긴 일을 찾는 것은 현대인의 가장 큰 열망이다. 어쩌면
이 시대의 가장 큰 공포는 "영혼 없는 노동에 인생을 낭비하는 것
인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실존적 고민을 해소하고 삶을 충만하게
만들어줄 "일"은 어디서 어떻게 찾아야 할까?
이 책은 일에서 만족감을 찾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며,
의미를 찾고 기꺼이 몰입하는 가운데 자유를 느낄 수 있는 일을 찾는
방법을 제시한다.
돈과 의미 간의 충돌, 몰입과 가정생활 사이의 갈등에서 자신만의
해법을 찾는 기준,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법을 알아본다.
일에서 성취감을 느끼고 싶은가? 그런 일을 찾아 변화를 시도하고
싶은가? 이 책에 담긴 혜안과 성찰이 당신에게 <천직>에 이르는 길
을 보여줄 것이다.
───────────────────────────────────────────˚☆
2- 천직을 찾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가? -3가지 이유
① 근대 역사에서 직업 선택의 확대가 이루어졌지만 현대의 우리에게는
심리적으로 그것에 대처할 능력이 갖춰져 있지 않다. 너무 많은 선택
대상중에서 골라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선택의 자유가 아닌 무기력을
초래한다.
( we are not psychologically equipped to deal with
the expansion of choice in recent history. )
② 우리가 받은 교육, 특히 어린 시절에 '선택 과목'으로 택한 교육과정
이 훗날 직업의 선택을 한쪽 방향으로만 재단해 버린다.
( we are burdened by our own pasts, especially
the legacy of our early educational choices. )
③ 과학적 방법이라 신봉하는 직업 적성검사나 성격검사는 사실
우리가 찾는 직업을 정확히 알려주는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 popular science of personality testing rarely helps
us pinpoint fulfilling careers. )
▶현대의 일터에 역사상 유례없는 두가지 치명적인 유행병이 번지고 있음
을 보여준다. 바로 직업에 대한 불만족과, 올바른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모호하다는 불안감이다.
직업의 평균 지속기간은 고작 4년 밖에 되지 않는다.
.
★ 2부-
3- 일의 목적 5가지 -천직 찾기의 기준
────────────────────────────────────────────『наррч Ŀøνё′♬
① 돈 -돈을 버는 것
중요한 요소지만 만족할 수 없으므로 불안과 우울감만 증폭될 수 있다.
② 지위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것
타인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지나치게 신경 쓰지 말고 지위가 아닌
존경을 얻어야 한다.
③ 의미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것
수익과 사회적 이익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
④ 열정 -열정을 따르는 것
⑤ 재능 -재능을 활용하는 것
일과 놀이를 일치시키는 것은 위험하긴 해도 한 번쯤 도전해볼 가치가
있다
▶① 돈을 기준으로 직업을 선택해도 만족은 없다.
쾌락의 쳇바퀴에서 돌고 돌 뿐.
“우리는 엉뚱한 곳에서 성취감을 찾고 있는지도 모른다. 존재가 아니라
소유에서, 공감할 수 있고 성장에 도움이 되는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서가 아니라 소유를 늘리는 데서 말이다. 이제 돈을 기준으로 직업을
선택해서 의미 있고 풍요로운 인생을 살 수 있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② 높은 지위를 위해 직업을 선택하는 것 역시 만족은 없다.
나니아 연대기로 유명한 작가이자 영적 사상가인 C. S. 루이스(Lewis)는
이 문제를 이렇게 이해했다. 대부분의 인간은 사회적으로 존경받거나 중요
한 사람들로 이루어진 내부 패거리(inner circle)에 속하고 싶은 욕구가
있지만, 그 내부안에는 언제나 또 다른 내부(*높은 지위나 계급)가 존재하
게 마련이므로, 우리가 원하는 내부에는 영원히 이를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매우 간명하다. 타인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
하는지에 지나치게 신경쓰지 말라는 것이다.
*누가 당신의 지위를 판단한다고 생각하는가? 가족, 친구, 동료?
당신은 그들에게 그럴 권리를 주고 싶은가? 물론 인간인 이상 누구나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것이 꼭 지위여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지위가 아니라 존경을 얻어라.
이 기준에서는 누구나 들어가고 싶어 하는 대기업은 좋은 대안이 아닐지도
모른다. 대규모 조직에서는 개인의 노고를 인정받기 어렵고 관료주의적
전통도 강하다. 그보다는 직원 개개인을 고유한 인간이자 동등한 공동체
의 일원으로 대우해주는 곳을 찾아보는 것은 어떤가? 존중이라는 요소는
개개인의 생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마련이므로, 존중받는 직업 또한
남들이 말하는 획일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3부-
4- 당신의 재능과 세상의 필요가 교차하는 곳에 당신의 천직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
────────────────────────────────────────────『наррч Ŀøνё′♬
▶이 말이야말로 지난 3,000년 동안 등장한 직업에 관련된 수많은 조언 중
에서 가장 유용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어떻
게 하면 이 시대의 사회, 정치, 환경 분야의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돈, 사회적 지위, 존중, 기여, 열정, 재능 중 당신이 직업을 선택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앞의 동기 중에서 미래의 직업 선택에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싶은
두 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그 이유는?
5개의 별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당신은 각각의 별에서 1년 동안 머무르
면서 무엇이든 원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다섯
가지 직업을 생각해 보자.
이 다섯 가지 직업은 이전 과제에서 답한 미래의 직업 선택에서 가장 중요
하게 고려하는 두 가지 동기 요소에 부합 하는가?
───────────────────────────────────────────˚☆
5- 성취감(*만족)을 느끼게 해주는 직업의 핵심요소 3가지
저자는 만족스러운 직업을 영위하기 위한 핵심 요소를 의미, 몰입, 자유
3가지로 보고 있다. 의미와 몰입의 대상, 자신에게 중요한 자유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스스로에게 해야 할 질문 리스트이다.
▶① 의미- 당신이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엇인가? (meaning)
당신이 경험해본 직업은 애초의 기대와 어떻게 달랐는가?
당신이 사람들과 가장 적극적으로 대화를 나눈 직업은 무엇인가?
당신이 원하는 가장 큰 의미를 줄 수 있는 직업은 무엇인가?
( What man actually needs is not some tension-less state
but rather the striving and struggling for some goal worthy of him.)
–Victor Frankl
▶② 몰입- 당신을 몰입하게 하는 일은 무엇인가? ( flow)
가장 몰입이 잘 된 일은 무엇인가?
'몰입 다이어리'를 써서 일상생활 속에서 몰입을 경험했던 일들을 적어본
다면 어떤 일을 할 때 성취감을 느끼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③ 자유- 당신은 일에서 어떤 자유를 가장 갈망하는가? (freedom)
) 아무리 사소한 일일지라도 선택과 자율성이 보장된 일을 할 때 더 큰 보람
을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보스'가 되고 싶어한다. 세상에는 자기만의 작은
땅이나 가게, 사업을 남몰래 꿈꾸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성공 가능성이
낮고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야 하는데도 말이다. 큰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
할 만큼 낙관적이지도 않는데도 그들은 꿈을 접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들
이 가장 원하는 것이 자율성과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이기 때문
이다 -아나키즘 연구가 콜린 워드의 저서 《아나키즘, 대안의 상상력》中
당신 또한 당신의 행복은 안중에도 없고 분기별 수익에만 신경 쓰는 상사
밑에서 하루 8시간씩 일하는 것보다는 선택의 자유와 자율성이 보장된 일
을 원하지 않는가? -본문中에서
★ 4부-
6- 여러 개의 자아를 상상하라. (multiple selves)
────────────────────────────────────────────『наррч Ŀøνё′♬
① 선택지도 만들기
돈, 사회적 지위, 존중, 기여, 열정, 재능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가
② 상상의 직업 나열하기
위 5개 요소 중 top 2가지에 해당하는 직업으 로 선택.
③ 나만의 구직광고 만들기
내가 어떤 사람이고 내가 이 일에 왜 적합한지. 각 개인에게 적합한 직업의
정체성은 존재의 핵심에 숨어 발견되기만을 기다리는 단 하나의 보물(*직업)
이 아니다. 그것은 수많은 가능성으로 구성된다. 인간은 여러 개의 가능성으
로 이루어진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다양한 직업에 과감하게 도전해보자.
여러 분야에 널리 도전해서 성취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동시에 여러
직업에 도전하는 <르네상스 제너럴리스트>와 한 번에 하나 씩 차례로 시도
해보는 <연속 스페셜리스트>가 그것이다.
▶스페셜리스트와 제너럴리스트에 대한 고찰을 해보면...
지금까지의 대세였던 스페셜리스트는 업무 반복에 의한 싫증을 느낄 수 있고
동시에 여러 직업에 도전하는 르네상스 제너럴리스트는 경제적 불안정을 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명이 길어지는 요즘에는 한 번에 하나씩 차례로 시도
해보는 연속 스페셜리스트가 시의적으로는 잘 맞고 건강한 긴장과 활력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나만의 천직을 찾기 위해 하고 싶은 일을 리스트업해보고 실행해보자.
───────────────────────────────────────────˚☆
7.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고민하라. -현실 속 실험 프로젝트
① 근본적 안식기 갖기 -미래 직업을 위한 휴가
② 가지치기 프로젝트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배우면서 정말 열정이 생기
는지 확인하는 것
③ 대화 리서치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 꿈꾸는 분야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보는 것
▶직업을 바꾸겠다는 생각은 누구에게나 불안감을 주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
은 누구나 느끼게 되는 고통의 원인이 된다. 누구나 똑같은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지. 겉으로는 자신감이 넘쳐 보여도 속으로는 확신이 없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위험에 대한 민감성 때문인데(긍정적인 자극보다 부정적인 자극에
훨씬 더 민감) 결과적으로 자신의 약점에 대해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고 능력을
의심하게 되므로 성취감을 느끼지도 못하는 현재 직업에 계속 머물러 있게
만든다고 한다.
그렇지만 성공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실험학습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행동을 취하지 않고서는 직업을 바꿀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기존 전통적인 경력 변화 모델에서는 먼저 촘촘히 계획을 세운 후에 행동하라
고 조언하고 있지만, 저자는 먼저 행동하고 나중에 생각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촘촘한 분석을 통한 계획 수립은 완벽한 직업을 끊임없이
찾아 헤매면서 최선의 선택을 하려다 오히려 혼란에 빠지게 하고 결국 두려움
과 망설임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 Act now and reflect later.
Rather than meticulously planning then taking action,
we should act first and reflect later, doing experimental projects
that test-run our various selves in the real world. )
▶저자는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일을 하면서 평생 낭비할 바에야 자아의 새로운
측면을 탐색해보는 것이 더 가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나에게 맞는 직업을 생각만해선 찾을 수 없다. 몸이 움직여야한다. 저자의 말
처럼 "목적과 의미를 주리라고 기대되는 직업"을 생각해낸 다음에는 실제로
이 '잠재적 직업'이 나에게 맞는지 테스트해 보는 실험 기간이 필요하다.
1년에 일주일 정도는 새로운 직업에 대해 생각해보는 '근본적 안식기'를 갖거
나(학생이라면 혹은 프리랜서라면 몇 달씩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다), 현재
직업을 유지한 상태에서 잠재적 직업이 나에게 맞는지 시도해보는 '가지치기'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는 것이다.
▶자신이 꿈꾸고 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도 나를
둘러싼 사회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더 넓은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는 방법
이다.
★ 5부-
8- 당신의 일은 속박인가, 자유인가
────────────────────────────────────────────『наррч Ŀøνё′♬
▶스스로 직업 만들기
자영업이 자율성은 있는데 그에 따르는 책임이 있다. 이 때문에 스트레스는
받지만 대신에 최고의 성취감을 맛볼 수 있다
▶노동윤리는 잊고 게을러지기
일에 중독되지 말자. 여가생활을 즐기면서 일을 해야 성취감도 올라간다.
▶소박한 삶 추구하기
과중한 업무의 족쇄에서 벗어나 열정을 좇으며 소박한 삶을 살 수 도 있다.
풍요의 시대를 사는 우리는 일에 얽매인 노예가 될 필요가 없다.
▶일과 가정의 균형 맞추기
여성들의 경우 남편과 가사분담이 필요.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
*저자는 천직은 '찾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목표를 가지고 '키워나가는' 것
이며, 아래의 의미와 몰입, 자유라는 세 가지 요소가 충족되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일에 헌신하면 된다고 말하고 있다.
( Vocations are grown, and grown into, rather than found…
goal quietly crept up on her during years
of sustained scientific research…
vocation crystallizes slowly, almost without us realizing it. )
① 몰입은 창조성을 발휘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행동의 파급 효과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거나 분명히 정해진 목표가 있을 때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직업을 꿈꾸라.
( Flow is also enhanced
when we are being creative and learning new skills,
when we can see the immediate impact of our actions,
and when we have clearly defined goals. )
② 선택의 자유와 자율성이 있는 직업을 찾아라.
③ 삶의 성취감을 만끽하게 해 주는 일을 찾아라.
▶그리고 노동윤리는 잊고 적당히 게으르고 소박한 삶을 지향하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보스'가 되고 싶어 한다. 세상에는 자기만의 작은 땅
이나 가게, 사업을 남몰래 꿈꾸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성공 가능성이
낮고 밤낮으로 열심히 일해야 하는데도 말이다.
큰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할 만큼 낙관적이지도 않는데도 그들은 꿈을 접지
않는다. 그 이유는 그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 자율성과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통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9. 마치며 -천직은 찾는 게 아니라 키워가는 것!
ㅡ천직은 천천히 만들어진다. 당신을 묶고 있는 밧줄을 잘라내라
▶한 인간을 완전히 뭉개버리고 싶다면 파괴하고 싶다면
무시무시한 살인자라도 벌벌떨 만한 가장 끔찍한 형벌을 내려라.
그것은 전혀 무익하고 의미 없는 일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
( If one wanted to crush and destroy a man entirely,
to mete out to him the most terrible punishment,
one at which the most fearsome murderer would tremble,
shrinking from it in advance, call one would have to do would be
to make him do work that was completely and utterly devoid of
usefulness and meaning. ) –Fyodor Dostoyevsky
*우리는 대부분 억압과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살아간다. 밧줄을 잘라 자유로
워지고 싶은가? 그렇다면 실험정신을 발휘해 내면에 자리한 광기를 찾아야
한다.
▶순간의 안전을 위해 자유를 포기하는 자는 자유도 안전도 누릴 자격이 없다.
-벤저민 프랭클린
*최고의 성취감을 주는 직업을 원한다면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일을 찾아야 한다. 안전과 자유 중에 선택해야 한다면 나는 자유를
선택하라고 하고 싶다.
▶누구한테나 인생은 쉽지 않은 법이다. 하지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Life is not easy for any of us, but what of that? )
끈기와 무엇보다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한다.
자신이 어떤 일엔가 재능이 있다 고 믿어야 하며,
어떤 희생을 치르든 그것을 달성해야만 한다. -마리퀴리 Marie Curie
*우리에게는 인간이 경험한 이래 최초로 인생을 일에 맞추는 대신,
인생에 맞춘 일을 창출할 기회가 생겼다. …
이 기회를 놓친다면 미치고 말 것이다.
▶세상에 마땅히 두려워해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는 것이다.
*주저하면 미루게 되고 지난 날을 애통해 하면서
시간을 흘려보내게 된다.
당신이 진심이라면 바로 이 순간을 잡아라.
당신이 무엇을 하고 무엇을 꿈꾸든 지금 시작하라.
대담함은 그 속에 천재성과 힘, 마법을 지니고 있다. -괴테
(Then indecision brings its own delays,
And days are lost lamenting o’er lost days.
Are you in earnest? Seize this very minute;
What you can do, or dream you can, begin it;
Boldness has genius, power and magic in it.)
–Goethe
◐즐겁지 않고 적성에도 맞지 않지만 그저 생존을 위해 무의미하게 반복적인
ㅡ일을 하고 있거나, 일을 통해 삶에 대한 고민이나 회의가 들기 시작했을 때,
ㅡ혹은 전업을 하고 싶은데 두려워 망설이고 있다면 이 책은 '일'에 대한 근본
ㅡ적인 접근을 통해 거시적이긴 하지만 작은 열쇠가 되어줄 것 같다.
■펌처/ 상상자유주식회사 外 다른 Blog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
=romanticixy&logNo=220688656025